안녕하세요.
보드게임과 캠핑을 즐기고 있는 보드겜핑입니다.
이게 뭔데?
오늘 소개할 <보난자>는 필요에 따라 다른 플레이어들과 카드를 주고받으며 상호작용하는 협상 게임입니다.
규칙이 어렵지 않고 그림체가 귀여워서 어린이들도 쉽게 배울 수 있습니다. 같이 플레이하는 구성원의 성향에 따라 매우 평화로운 게임이 될 수도, 경쟁이 치열한 게임이 될 수도 있습니다. 협상 게임을 이 게임으로 입문해서인지 개인적으로 애착이 많이 가네요.
게임명 | 보난자 (Bohnanza) |
디자이너 | Uwe Rosenberg |
출판년도 | 1997 |
게임인원 | 2-7인 (4-5인 베스트) |
플레이시간 | 45분 |
사용연령 | 13세 이상 |
보드게임긱 웨이트 (숫자가 낮을수록 쉬움.) | 1.67 / 5 |

테마가 뭔데?
밭에 여러 종류의 콩을 심고 기르고 수확하고 판매하는 농장 테마입니다. 이쪽 분야에서 독보적 디자이너인 우베 로젠버그의 대표작 중 하나입니다. 그래서인지 '콩 아저씨'라는 별명도 생겼다고 하네요.

어떻게 생겼는데?
1. 콩 카드와 세 번째 콩밭 카드로만 구성되어 있습니다.
버전에 따라 구성품이 다를 수 있습니다.
2. 콩 카드에는 11 종류의 콩이 그려져 있습니다.
- 카드 윗부분에 적힌 숫자는 전체 콩 카드에서 해당 콩이 몇 장 있는지 나타냅니다.
- 카드 아랫부분에 그려진 금화는 해당 콩의 가격을 나타냅니다.
. 파는 콩 카드 장수(금화 아래의 숫자)가 많을수록 판매금액이 높습니다.
. 희소성이 높은(카드 윗부분에 적힌 숫자가 작은) 콩일수록 판매금액이 높습니다.
3. 세 번째 콩밭 카드에는 콩밭이 그려져 있습니다.

어떻게 플레이하는데?
1. 승리 조건
1) 게임 종료 시 금화를 가장 많이 모은 사람이 이깁니다.
2) 카드 더미가 세 번째 바닥나면 게임이 끝납니다.
2. 게임 준비
1) 세 번째 콩밭 카드를 상자 안에 넣어 둡니다.
- 각 플레이어는 모두 두 개의 콩밭을 갖고 게임을 시작합니다.
각 플레이어의 앞에 가상의 콩밭 두 개가 있다고 가정합니다.
- 세 번째 콩밭은 언제든지 게임 중에 한 번 금화 세 개를 내고 살 수 있습니다.
사온 세 번째 콩밭은 자기 콩밭 근처에 놓습니다.
2) 카드를 잘 섞어서 각자 다섯 장씩 나누어 갖습니다.
- 인원에 따라 카드 구성이 달라집니다.
세부 규칙은 게임 규칙서를 참고하세요.
- 카드를 받을 때 한 번에 한 장씩 받습니다.
- 받은 카드는 다른 플레이어에게 보이지 않도록 손에 듭니다.
- 카드를 받은 순서대로 손에 들어야 하며, 카드 순서를 절대로 바꾸지 않습니다.
- 새로 받는 카드는 손에 있는 카드 중 가장 뒤쪽(먼쪽)으로 놓습니다.
3) 남은 카드는 뒷면(금화가 그려진 면)이 보이도록 가운데에 더미를 만들어 놓습니다.
3. 게임 진행
선 플레이어부터 시계 방향으로 아래 행동을 순서대로 진행합니다.
세부 규칙은 게임 규칙서를 참고하세요.
1) 콩 카드를 심습니다.
- 손에 있는 첫 번째(가까운) 콩 카드를 반드시 콩밭에 심습니다.
. 비어 있거나, 내려놓는 카드와 같은 종류의 콩이 심긴 콩밭에만 심을 수 있습니다.
. 콩을 심을 수 없는 상황이라면, 밭을 하나 골라서 이미 심긴 콩을 모두 수확한 후 새 콩을 심습니다.
(가능하면 콩 카드가 두 장 이상 심긴 콩밭 중에서 선택해야 합니다.)
- 손에 있는 두 번째 콩 카드는 심어도 되고 안 심어도 됩니다.
- 손에 있는 세 번째 콩 카드는 절대로 심을 수 없습니다.
2) 콩 카드를 펼치고, 교환하고, 기증합니다.
- 카드 더미에서 맨 위의 두 장을 모두가 볼 수 있게 바닥에 펼칩니다.
- 손에 있는 카드와 펼친 카드를 다른 플레이어와 교환하거나 기증할 수 있습니다.
펼친 카드는 남겨두었다가 자신이 심어도 됩니다.
. 교환 또는 기증받은 콩 카드는 손으로 가져올 수 없습니다. 한쪽으로 치워둡니다.
. 교환 또는 기증받은 콩 카드를 다시 교환하거나 기증할 수 없습니다.
- 모든 교환은 현재 차례인 사람을 포함하여 이루어져야 합니다.
3) 교환, 기증받은 콩을 심습니다.
- 심는 순서는 상관없지만 교환, 기증받은 모든 콩 카드를 심어야 합니다.
4) 새 콩 카드를 가져옵니다.
- 카드 더미에서 콩 카드 세 장을 가져옵니다.
- 카드가 다 떨어지면 버린 카드 더미를 잘 섞어서 뒷면이 보이게 새 카드 더미를 만듭니다.
- 다음 플레이어에게 차례를 넘깁니다.

더 재미있게 즐기려면?
1. 세 번째 밭을 일찍 구입하면 게임을 풀어가기가 수월합니다.
빈 밭이 없어서 원치 않게 이미 심긴 밭을 갈아엎을 일이 줄어듭니다.
또한 다른 플레이어가 방출하려는 카드를 받아줄 수 있어서 협상의 폭이 넓어집니다.

2. 희귀한 콩은 단가가 높아서 사람들이 선호하는 편이지만 그만큼 구하기가 어렵습니다.
자칫하면 추가 카드를 구하지 못해서 밭 하나를 오랫동안 방치하게 될 수도 있습니다.
반면에 흔한 콩은 단가가 낮지만 카드를 모으기 수월하기 때문에 좋은 전략이 될 수도 있습니다.
3. 게임이 예상보다 빨리 종료된다고 느껴질 수 있습니다.
카드 더미가 세 번 소진되면 게임이 종료되지만, 후반부로 갈수록 각 카드 더미가 더 빨리 소진됩니다.
카드 뒷면이 금화로 되어 있어서, 플레이어들이 금화로 바꾼 카드만큼 카드 더미가 줄어 있기 때문입니다.
4. 카드를 정말 골고루 잘 섞어야 합니다.
적당히 섞으면 같은 콩류의 콩 카드가 뭉쳐진 채 배분되어 게임의 재미가 상당히 줄어듭니다.
세 줄 요약
1. 규칙이 간단한 콩 심기 테마의 협상 게임입니다.
2. 핸드에 있는 카드의 순서를 절대로 바꾸시면 안 됩니다.
3. 카드를 골고루 잘 섞어야 합니다.
이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하트(공감), 댓글, 구독 부탁드립니다.
더 좋은 정보와 포스팅으로 보답하겠습니다.

'보드게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16장의 카드만으로 즐기는 참 쉬운 보드게임. <러브 레터> (0) | 2021.04.14 |
---|---|
보드게임 <위대한 달무티> 튜토리얼 플레이 (0) | 2021.03.18 |
경매 방식의 종합선물세트. 보드게임 <모던아트> (1) | 2021.03.16 |
무인도 탈출 보드게임 <서바이브: 아틀란티스로부터의 탈출!> (1) | 2021.03.11 |
보드게임을 온가족이 함께 즐길 취미로 추천하는 5가지 이유 (2) | 2021.03.07 |
댓글